1종보통면허소지자로 수동기어차량을 운행하기시작한것은 1989년부터입니다.

그러나 1-2년후에 자동기어승용차로 바꾸고나서 왼발브레이킹으로 운전하는 사람입니다.


[왼발브레이킹을 시작한 동기]


1. 차량에는 왼쪽에 풋레스트 즉, 왼발을 올려 놓는 고무판이 있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왼발을 올려 놓기만 하고 아무런 일을 하지 않으면서 몸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가는 현상을

느꼈습니다.


2. 이런 현상으로 인해 척추측만증 즉, 척추가 오른쪽으로 휘는 현상이 생기지 않을까 염려되어서 왼발브레이킹을 하면서

양쪽발을 사용함으로써 자세를 바르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왼발브레이킹을 시작했습니다.


지금 오른쪽발만 사용하는 승용차 운전석을 보면 대부분 등판 오른쪽이 더 많이 눌려 있는 현상을 발견하게 될겁니다.

이런 이유는 오른쪽발만 사용할 경우에 점점 오른쪽으로 몸이 기울어져서 오른쪽 팔걸이에 걸치고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운전하게 되는 현상때문입니다.


[왼발브레이킹 요령]

1. 왼발 풋레스트에 왼발을 올려 놓고 있다가 왼발 뒷굽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왼발을 돌리면

브레이크 페달의 왼쪽부분에 닿게 됩니다.


2. 브레이크 왼쪽 부분에 닿은 왼발에서 엄지발가락을 중심으로 스냅을 가하면 급브레이크현상이 없이

가볍게 왼발브레이킹이 가능합니다.


[왼발브레이킹의 장점]

1. 앞차량의 돌발적인 상황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 경우에 미리 브레이크에 왼발을 가볍게 올려 놓고 

대기하다가 즉시 브레이킹이 가능합니다.

특히 택시가 앞서갈때 언제 돌발적으로 정차할지 모르는 택시에 대응하여 왼발브레이킹은 매우 안전한 방법입니다.


2. 고속도로 정체구간에서 항상 추돌사고가 발생합니다.

그이유는 오른쪽발만 사용할 경우, 엑셀에서 발을 떼고 브레이크로 옮기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브레이크가 작동할때까지

차량이 굴러가는 거리 즉, "공주거리" 인데 이렇게 무방비로 차량이 굴러 가는 거리로 인해 실제 브레이크가 작동된 순간에는

추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차량의 특징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게 하기 위해서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에 차량의 RPM을 상승시켜

브레이크 펌프를 작동하는 원리로 인해 차량은 더 가속되는 현상까지 더해짐으로써 항상 정체구간에서

추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것입니다.


그러나 왼발브레이킹으로 정체구간에서 왼발이 브레이크에 대기상태에 있을때는 즉시 브레이킹이 가능하여

절대 추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3. 경사진 눈길에서 정차한 후에 출발시 매우 천천히 가속이 가능하여 차량이 미끌어지지 않습니다.

그방법은 왼발브레이킹을 한 상태에서 엑셀을 밟으면서 왼발로 브레이크를 조금씩 놓아주면서 출발합니다.

이렇게 경사진 눈길에서 출발하면 절대로 타이어가 급하게 회전하여 공회전함으로써 슬립이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4. 경사진 도로에서 주차하거나 좁은 구간에 주차할 경우에 미세한 차량이동이 가능하여 주차가 가능합니다.

왼발브레이킹으로 엑셀과 동시에 전후진할 수 있고 차량을 매우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경사진 도로 특히 성남시 같은 30도가량의 경사진 도로에서도 쉽게 주차가능합니다.


5. 고속도로 커브구간에서 속력을 많이 떨어뜨리지 않고 커브를 돌아 나갈 수 있으며 안전하게 돌아 나갈 수 있습니다.

흔히 커브구간에서 오른발만 사용하면 엑셀에서 발을 떼고 브레이킹을 하게 됩니다.

이때 엑셀에서 발을 떼면 기어단수가 자동으로 내려가서 엔진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속력이 떨어집니다.

커브구간에서 속력을 낮추는것은 안전을 위해 당연한것입니다만 의도한것보다 더 속력이 떨어지게 되는것입니다.

따라서 커브를 돌아 나간 후에 가속할려면 엑셀을 더 깊히 밟아야 합니다.


그러나 왼발브레이킹을 하면 엑셀을 조금한 늦추면서 동시에 왼발로브레이킹을 하게 됨으로써 속력을 더 많이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급브레이킹을 하지 않고 커브를 돌아 나가게 되어 더욱 안전하고 부드럽게 커브구간을 돌아 나갈 수 있습니다.


특히 눈길이나 빗길일때 오른발로 엑셀에서 발을 떼고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급브레이킹이 됨으로써 미끌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나 왼발브레이킹으로 순간순간을 끊어서 지속적으로 엑셀과 브레이킹이 가능하여서 급브레이킹으로 인해

미끌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6. 왼발브레이킹은 척추건강에도 도움이 됩니다.

항상 양쪽을 균형있게 사용하는것이 건강에 좋다는것은 상식입니다.


20여년동안 추돌사고는 한건도 없었습니다.

심지어 택시가 2-3미터 앞에서 급정차하였을때도 즉시 정차하여 추돌사고를 피했던 적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왼발브레이킹은 더 좋은 운전습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입니다.


본인의 운동능력에 따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http://youtu.be/xl7O01h7MU4


http://youtu.be/vcSAiRxmm0w


카레이서가 왼발브레이킹을 하는 이유는 오로지 속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커브를 돌아나가기 위한 용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