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8월 10일 목요일 쾌청 어머니, 나는 사람을 죽였습니다. 그것도 돌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10여 명은 될 것입니다. 나는 4명의 특공대원과 함께 수류탄이라는 무서운 폭발 무기를 던져 일순간에 죽이고 말았습니다. 수류탄의 폭음은 나의 고막을 찢어 버렸습니다.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순간에도 귓속에는 무서운 굉음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어머니, 적은 다리가 떨어져 나가고 팔이 떨어져 나갔습니다. 너무나 가혹한 죽음이었습니다. 아무리 적이지만 그들도 사람이라고 생각하니 더욱이 같은 언어와 같은 피를 나눈 동족이라고 생각하니 가슴이 답답하고 무겁습니다. 어머니, 전쟁은 왜 해야 하나요? 이 복잡하고 괴로운 심정을 어머님께 알려드려야 내 마음이 가라앉을 것 같습니다. 저는 무서운 생각이 듭니다. 지금 내 옆에서는 수많은 학우들이 죽음을 기다리는 듯 적이 덤벼들 것을 기다리며 뜨거운 햇빛 아래 엎드려 있습니다. 적은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언제 다시 덤벼들지 모릅니다. 적병은 너무나 많습니다. 우리는 겨우 71명입니다. 이제 어떻게 될 것인가를 생각하면 무섭습니다. 어머니, 어서 전쟁이 끝나고 어머니 품에 안기고 싶습니다. 어제 저는 내복을 손수 빨아 입었습니다. 물내 나는 청결한 내복을 입으면서 저는 두 가지 생각을 했습니다. 어머님이 빨아 주시던 백옥 같은 내복과 내가 빨아 입은 내복을 말입니다. 그런데 저는 청결한 내복을 갈아입으며 왜 壽衣(수의)를 생각해 냈는지 모릅니다. 죽은 사람에게 갈아입히는 壽衣 말입니다. 어머니, 어쩌면 제가 오늘 죽을지도 모릅니다. 저 많은 적들이 그냥 물러갈 것 같지는 않으니까 말입니다. 어머니, 죽음이 무서운 게 아니라, 어머님도 형제들도 못 만난다고 생각하니 무서워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살아가겠습니다. 꼭 살아서 가겠습니다. 어머니, 이제 겨우 마음이 안정이 되는군요. 어머니, 저는 꼭 살아서 다시 어머님 곁으로 가겠습니다. 상추쌈이 먹고 싶습니다. 찬 옹달샘에서 이가 시리도록 차거운 냉수를 한없이 들이키고 싶습니다. 아! 놈들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다시 또 쓰겠습니다. 어머니 안녕! 안녕! 아~ 안녕은 아닙니다. 다시 쓸 테니까요… 그럼 -1950년 8월 포항 전투 당시 어느 학도병의 수첩에서....- 이 수첩의 주인은 아쉽게도 살아서 돌아가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 전투종결후 현장을 수습하러 갔던 어느 여군 정훈요원의 손에 이수첩이 발견되었을때는 시신은 알아보기 힘들정도로 훼손 되어 있었고 수첩도 피범벅이되어 글을 알아보기조차 힘들었다는 이야기만 그 여군의 비통한 수기에서 전해 내려올 뿐이다.... 고등학교시절 방학때 중학교 동창과 함께 찾아간 전쟁기념관에서 포항여중전투 당시 전사한 학생들의 명부에 본인이다녔던 중학교의 선배들이 있었었음을 발견하고 잠시 숙연해진 적이 있었다. '금정중학교 박.... 8월11일 전사' 그전까지는 내가 다니던 중학교에서 학도병 전몰자가 3명이나 있었다는 것은 학교 선생님들조차 모르는 이야기 였다..... 소년들의 죽음을 잊지말자! 그들이 싸워야했던 불행한 시대가 반복되어선 안되는 것을... 우리는 그들의 희생을 토대로한 번영하에 살고 있음을... 첨부파일: '1950년 8월 11일 포항여중전투' 정형모화백 작 포항여중에서 전몰한 71명의 학도병을 추모하기위해 그려진 그림.... 정말 숙연해지는군요... 이런 민족의 비극을 일으켜 놓고 일절의 사과도 안하고 뻔뻔하게 쌀과 비료를 요구하는 북한 괴뢰 도당들.. 그들의 비위를 맞추느라 쓴소리한번 못하고 이들의 죽음을 헛되이 만들고 있는 현 정권.. 정말 착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