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라면에 달걀 넣기 겁나는 세상… 서민 물가 확실히 잡아야

‘라면에 달걀 하나 넣는 것도 사치’라는 말이 우스갯소리가 아닌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2% 올랐다. 올해 1월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특히 수산물(7.4%)과 가공식품(4.6%) 등 식료품값 오름세가 심상찮다. 국민 간식이던 라면 가격은 6.9%나 뛰어 21개월 만에 최고 상승 폭을 기록했고, 달걀(6.0%)은 3년 5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이에 따라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를 기록했다.
문제는 이 같은 추세가 일시적이 아니라는 점이다. 가공식품 가격 상승은 원재료비 인상 때문이고, 농수산물도 이상기후 등 구조적 취약 요인이 누적돼 있다. 한국은 식료품값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1.5배로 스위스 다음으로 비싼 나라가 됐다. 옷값(1.37배), 교육비(1.1배)도 평균을 웃돈다. 이는 단순히 ‘일시적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유통구조와 소비 행태의 왜곡이 함께 작동한 결과다.
정부는 2차 추가경정예산안이 통과되면 물가 안정 사업을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질 효과는 미지수다. 소비쿠폰 같은 일시적 현금 살포보다 서민 체감물가의 구조적 부담을 낮추는 정책이 절실하다. 달걀값이 오르면 컵밥도, 편의점 도시락도 덩달아 오르기 마련이다. 이는 하루 세끼를 걱정하는 저소득층에겐 생존의 문제다.
정부는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수입 경로를 다변화하는 등 필수 소비재의 고비용 체계를 바로잡는 데 집중해야 한다. 배추와 달걀, 수산물 등 계절·수입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은 선제적 물량 조절과 유통 안정화를 통해 가격 급등을 억제해야 한다. 민생 안정은 ‘소비쿠폰’ 같은 생색내기식 복지정책 이전에 라면값 같은 기본적인 생계비 안정에서 시작된다. 정부의 정교한 물가 관리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