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차 ■신규 수요 창출 ■대기환경 개선…1석 3조


매년 4~6월 노후 트럭 폐차 급증…신차 수요로 대이동

23년 1분기 보조금 1억에 덤프트럭 신규 수요 69.5%↑

미세먼지 감소 효과 입증에 지자체 예산 앞 다퉈 편성

“예산 부족으로 조기폐차 보조금 선착순 지급” 아쉬워


화물자동차 및 덤프트럭 등 노후 트럭 ‘조기폐차’ 정책이 해를 거듭하면서 그 실효성이 수치로 입증되고 있다.


화물자동차 및 덤프트럭 등 노후 트럭 ‘조기폐차’ 정책이 해를 거듭하면서 그 실효성이 수치로 입증되고 있다. 매년 대기 환경 개선을 위한 정부의 조기폐차 정책이 발표되면 노후 트럭의 자진 폐차가 급증하고, 덩달아 대폐차에 따른 신규 트럭 수요가 발생함으로써 트럭 시장도 활성화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노후 트럭 조기폐차는 정부가 대기관리권역 내 노후 경유차량에서 발생하는 매연을 줄여 쾌적한 대기환경을 조성하는 더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교통수단별 미세먼지 배출량 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노후 트럭의 조기폐차를 유도하고, 동시에 유럽의 최신예 배기가스 규제 기준인 유로6(Euro6) 차량으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매년 2분기(4~6월)에 화물차와 덤프트럭의 폐차가 급증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정부와 각 지자체가 매년 3~4월에 발표하는 조기폐차 지원 정책의 영향으로 4~5월부터 본격적인 폐차 수요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조기폐차 이후 대체 차량 구매가 연속해 이뤄지면서 신차 및 유로6 이상 중대형 중고 트럭 시장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주고 있다.



매년 2분기 폐차 급증…미세먼지 저감 정책 실효성 입증

통계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매년 2분기에 화물차와 덤프트럭의 폐차 수요가 다른 분기 대비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자동차로 분류되는 화물차의 경우 2022년 2분기 3만 9,512대로 1분기(2만 1,183대) 대비 86.5%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2분기 4만 6,333대로 1분기(2만 7,206대) 대비 70.3%, 2024년에는 2분기 4만 2,559대로 1분기(2만 5,396대) 대비 67.6% 증가했다.


건설기계로 분류되는 덤프트럭 역시 같은 패턴을 보이고 있다. 2022년 2분기 1,069대로 1분기(530대) 대비 101.7% 증가했으며, 2023년에는 2분기 1,211대로 1분기(467대) 대비 159.3%, 2024년에는 2분기 982대로 1분기(283대) 대비 무려 24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매년 3~4월에 발표되는 지자체별 조기폐차 지원정책이 차주들의 폐차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준다.


통계 분석 결과, 최근 3년간 매년 2분기에 화물차와 덤프트럭의 폐차 수요가 다른 분기 대비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점은 3~4분기에도 폐차 수요가 지속되지만 2분기만큼 급증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화물차의 경우 2023년 3분기 3만 4,441대, 4분기 3만 3,691대, 2024년 3분기 2만 9,126대, 4분기 2만 6,493대로 2분기 대비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연초에 편성된 지자체 예산이 2분기에 집중적으로 소진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보조금 지원 대상이 줄어드는 현상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조기폐차 정책이 상반기에 집중되면서 폐차장도 보통 2분기에 가장 바쁜 시즌을 맞는다. 경기도 이천의 한 관허폐차장 관계자는 “보통 5월부터 6월까지는 평소보다 2배 이상 업무량이 증가한다.”며, “심할 때는 조기폐차 관련 문의전화가 여기 폐차장까지 하루 수십 통씩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조기폐차 지자체 예산 규모, 올해는 축소

이렇게 ‘폐차 성수기’로 불리는 2분기에 수요가 집중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실질적인 환경 개선 효과도 이뤄지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최근 4년간 5등급 경유차 감축정책을 통해 초미세먼지 PM2.5 기준 약 1만 370톤, 수도권 미세먼지 배출량 4만 6,826톤의 감소 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5년 노후 트럭 조기폐차 대상은 배출가스 4등급과 5등급 경유차, 그리고 2009년 8월 31일 이전 배출허용기준을 적용해 제작된 도로용 3종 건설기계(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 콘크리트펌프트럭)다. 자동차 보험가입 기준으로 지난 3월 기준 조기폐차 지원사업 대상인 국내 5등급 차량은 28만여 대이며, 4등급 경유차는 113만 6,000여 대에 달한다.



다만, 이러한 대기환경 개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들이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올해는 전반적으로 지원 규모가 축소된 상황이다.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 206억 원을 투입해 노후 운행차량의 조기폐차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작년 대비 35억 원(16.2%) 감소한 액수다. 그럼에도 전남도는 289억 원, 인천시 217억 원(약 6,135대), 고양특례시 58억 원(약 1,820대), 대전시 84억 원(약 2,811대) 등 상당한 예산을 편성했다.


특히 DPF(매연저감장치) 장착률이 2024년 10월 기준으로 전국에서 운행되는 5등급 노후화물차의 39.5%에 불과해, 정부는 실질적인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조기폐차를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개선 노력은 중대형 트럭 시장의 활성화로도 이어지고 있다.


신차 및 중고차 판매 증가 선순환…2분기 시장 활성화 기대



노후 트럭 조기폐차는 오염물질 배출이 많은 노후 차량을 줄이는 동시에 신차 및 유로6 이상 중고차 시장 활성화에도 일부 기여하고 있다. 국토부의 상용차 등록 데이터를 가공, 본지에 독점 제공하고 있는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 통계에 따르면, 조기폐차가 집중되는 2분기에 일부 차종의 신차 판매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실제로 대형 카고트럭의 경우 2022년 2분기 판매량이 1,355대로 1분기(1,199대) 대비 13.0% 증가했으며, 2023년에도 2분기 1,091대로 1분기(829대) 대비 31.6%, 2024년에는 2분기 1,572대로 1분기(1,375대) 대비 14.3% 증가했다. 특히 조기폐차 보조금이 최대 1억까지 배정된 2023년 당시 25.5톤 이상 덤프트럭의 2분기 실적은 439대로 1분기(259대) 대비 69.5% 증가했다. 조기폐차의 혜택이 큰 차종일수록 신차 판매 증가율이 높게 나타난 것.


조기폐차로 인한 시장 활성화 효과는 사실 파격적인 지원 혜택에 기인한다. 2025년 서울시 기준으로 4등급 경유차는 총중량 3.5톤 이상일 경우 배기량에 따라 최대 7,800만 원까지, 덤프트럭 등 도로용 건설기계는 최대 1억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 신차 구매에 대한 부담을 크게 덜어준다. 여기에 저소득층과 소상공인에게는 100만 원의 추가 지원금이 제공된다.


국산 및 수입 트럭 브랜드들은 이러한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한 수입 트럭 업체 마케팅 관계자는 “환경부의 조기폐차 정책이 발표되기 전부터 각 브랜드들은 경쟁사의 추가 지원 정책이 어떤 수준인지 파악하는 데 힘쓰고 있다.”며, “정부 보조금이 선착순으로 지급되고 승용차와 함께 예산이 소진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소비자들이 중대형 트럭을 조기폐차 후 대차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상용차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하용 기자 jung.hy@cvinfo.com


출처-상용차신문

https://www.cvinfo.com/news/articleView.html?idxno=29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