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터포인트리서치…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판매 비중 늘어


전기차 배터리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기자 =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도 신형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용량이 증가한 가운데 국내 기업의 점유율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주요 시장에서의 전기차 보급 확대에 힘입어 지난해 신형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용량은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업체별로 중국 CATL이 38%의 점유율로 전년 대비 2%포인트 성장하며 선두를 유지했고, BYD(비야디)가 1%포인트 성장한 18%로 뒤를 이었다. 이외 CALB가 4%의 점유율을 유지하는 등 중국 기업의 점유율은 70% 이상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국내 배터리 기업의 점유율은 각각 2%포인트, 1%포인트 하락해 11%, 4%를 기록했다. 삼성SDI의 점유율은 4%로 변동 없었다.


이들 기업의 실적은 미국 내 전기차 수요 둔화와 유럽 시장 감소, 신규 기가팩토리 가동 지연, 기존 완성차 업체(OEM) 발주 물량 축소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전체 전기차 시장에서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의 비중은 2023년 30%에서 2024년 37%로 성장했다. 특히 충전 인프라 구축이 더딘 유럽과 중국에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중국업체의 성장에 대해 "중국의 배터리 산업 지배력은 이제 단순한 가격 경쟁력을 넘어 규모, 실행력, 통합 역량까지 아우른다"고 평가했다.



writer@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