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거돈 부산시장에게 성추행을 당한 피해자가 선거를 앞두고 피해사실을 폭로하려 했습니다. 야당에서도 깜짝 놀랄 일이 있을 거라며 이 폭로를 예고했습니다. 그러나 피해자에게 어떤 일이 있었는지, 피해자는 선거를 피해 폭로했습니다. 


보궐선거를 앞두고 박원순 성추행 피해자가 다시금 피해 호소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그러자 방송인 김어준이 이 기자회견을 두고 "정치 행위(로 본다), 민주당을 찍지말라는 것 아닌가"라는 발언을 했습니다. 박원순 성추행 피해자에 대한 폄훼는 계속 있었습니다. 피해자가 최초 성추행 피해를 폭로했을 때 민주당은 자신들을 방어하고자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으로 폄하했고, 박원순 시장 애도 분위기를 일으켰습니다. 문빠들의 피해자 매도도 시작됐습니다. 박원순 시장의 성추행은 희석됐으며 피해자는 2차 가해를 받는 처지가 됐습니다. 


"오거돈 성추행 피해자처럼, 선거를 피해서 폭로해야 한다"라는 법은 없습니다. 피해자가 누군가의 눈치를 보면서 피해를 호소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폭로해야 하는 것은 더욱 아닙니다. 하지만 김어준은 선거를 코 앞에 둔 (2차 가해를 한) 민주당을 배려하지 않고 피해자가 기자회견을 했다고 불만을 터뜨립니다. 


시민(피해자)이 민주당의 당리당략을 고려해서 행동해야 할 의무는 없습니다. 김어준은 언론인 윤리나 언론사의 사회적 책무보다 어쩌면 본인 가족보다 민주당의 당리당략을 더 중요하게 여길지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시민된 자라면 민주당의 당리당략이 아니라 인권, 정의를 받드는 게 마땅합니다. 노름에 미치면 자기 마누라도 팔아먹는다고, 권력에 미쳐서 인권이나 정의도 팔아먹는 자들이 문재인 정권 들어 부쩍 많아졌습니다. 민주사회를 구성하는 가치는 (민주)당의 당리당략이 아니라 시민의 기본권임을 모르는 자들입니다. 


시민(피해자)의 권리가 정당의 당리당략이나 정부의 노선과 충돌할 때 우리는 당연히 시민(피해자)의 권리를 옹호해야 합니다. 우리가 민주시민이기 위해서는 그래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박정희 정부가 산업근대화라는 노선 하에 국민 기본권을 탄압한 일을 어찌 비난할 수 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