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민회 방첩사 과장 자필 진술서 제출

1739054316304.jpg

 

 

1739054302022.jpg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의 부하인 구민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은 지난해 12월 수사기관에 A4 용지 5장 분량의 자필진술서를 제출했습니다.


구 과장은 12·3 내란사태 당일 밤 11시 4분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에게 임무를 부여 받았다면서 경찰에는 호송차를, 조사본부에는 구금시설을 확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또 호송 및 구금 명단은 14명으로


이재명 , 우원식, 한동훈

조해주,조국, 양경수

양정철,이학영 ,김민석

김민웅,김명수,김어준

박찬대,정청래


이어 이들을 인수받아 호송 후 구금시설로 이동한다는 임무를 하달받았다고 자필 진술했습니다.


 

1739054275884.jpg

 

 

1739054249224.jpg

 

 

1739054236335.jpg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은 

그런데 혐의가 뭐냐 ?

영장없이 구금할 수 있냐?

법무실에 문의해 봐라 라고 지시했다.


혐의도 모른채 구금지시부터 하달

1739054223960.jpg

 

 

1739054203963.jpg

 

 

1739054124420.jpg

 

 

23:05경

국방부 조사본부 소속대령과 통화해 수도권 내 구금시설 12개 병력 10명 지원 답변 받았다


1739053760137.jpg

23:06 경 경찰 국가수사본부 관계자와 연락해 병령 명단 접촉 장소 논의


(국수본에 따르면 계엄이 선포된 직후인 3일 밤 11시 30분 넘어 국군방첩사령부 수사조정과장인 구민회 중령이 이현일 경찰청 수사기획계장에게 전화로 '합동수사본부 구성시 수사관 100명과 차량 20대 파견 요청할테니 미리 준비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수사기획계장 보고를 받은 조지호 청장은 "명단만 준비하라"면서 또 방첩사를 지원할 현장 인력 5명 명단을 보내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 5명은 영등포경찰서 형사과 강력팀 소속 형사들이다.)

 

1739053390209.jpg

 

 

1739053375297.jpg

 

 

1739053358736.jpg

1739053341104.jpg

먼저 보이는 수사관부터 5명씹 무작위로 줄 세워 


1조.2조를 나누어 조별로 정치인 이송 명단 부여

 

1739053327344.jpg

 

 

1739053314320.jpg

 

 

1739053262667.jpg

 

 

1739053245860.jpg

구 과장이 국방부와 경찰 국수본에 전화한 시점은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여인형 당시 방첩사령관에 전화한, 바로 그때입니다.


홍 전 차장은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1시 6분 여 전 사령관과 통화에서 체포 명단을 전달받았다고 수차례 말했습니다.


[홍장원/전 국정원 1차장(지난 4일)] "책상에 앉아서 여유 있게 적었던 부분이 아니라 당시 국정원장 관사 입구에 있는 공터였기 때문에 서서 제 포켓에 있던 메모지에다 막 적었습니다."


홍 전 차장이 받아적은 내용은 김대우 전 단장의 국회 진술은 물론, 구 과장 진술서와도 대부분 일치합니다.


구 과장은 계엄 당일 "눈에 보이는 수사관부터 5명씩 무작위로 줄을 세웠고, 1조·2조를 나누어 조별로 정치인 이송 명단을 부여했다"고도 적었습니다.


이 역시 홍 전 차장 메모에 적힌 '1조, 2조 축차검거' 문구와 맞아떨어집니다.


홍 전 차장이 체포 명단을 받았던 시기에 방첩사 내부는 물론, 국방부 조사본부와 경찰 국수본 관계자까지 명단의 존재를 인식하기 시작했을 가능성이 여 전 사령관 부하의 진술로 확인된 셈입니다.

 

 

구 과장은 또 "4일 새벽 0시 25분에 신모 소령이 소속된 1조가 출발했고, 최모 소령이 소속된 2조부터 순차적으로 출발했다"고도 진술했습니다.


'1조, 2조 축차 검거 후 방첩사 구금시설에 감금 조사'라고도 써 있는 홍 전 차장의 메모의 내용과 일치할 뿐 아니라 최소 2개 조가 실제 출동까지 했다는 겁니다 

 

https://youtu.be/HcfOXK6ZYHE?si=NqglxmfkI3TEduu_


0003604090_002_20241214030321504 (1).jpg

 

 

1736761858928.jpg

 

 

19:30

안가 회동


김봉식 서울청장은 조지호 경찰청장과 함께 내란 사태 당일인 지난 3일 오후 7시쯤 윤 대통령 안가를 찾아 계엄 관련 내용을 전달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20:07 

경비부장 재출근 

주진우


서울경찰청 주진우 경비부장은 13일 오전 10시부터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내란 사태 직전 (3일) 저녁 7시~9시 사이에 서울청장에게 연락을 받았느냐'는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 질문에 "예"라고 답했다.


용 의원이 '무슨 이야기를 나눴냐'고 질의하자 주 경비부장은 "퇴근 후 집 주변에 있던 (3일) 오후 7시 40분쯤 서울청장님으로부터 전화가 와서 청장님께 올라갔다"며 "이후 (청장이) 야간 대기하고 있는 사용가능한 경력(경찰 인력)을 물어봐서 '영등포 관할 국회의사당 외 전장연(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관련 철야 경력이 4개 부대 있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이어 "(청장이) '경력이 더 필요할 것 같은데 1~2개 더 쓸 수 있냐'고 해서 종로에 있는 부대 한 개 정도를 옮길 수 있다고 했다"고 부연했다.


21:16


정보부장 재출근 


비상계엄 선포 이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100명 정도의 수사관 명단을 준비해 달라'고 서울경찰청에 연락했고 이를 토대로 실제 비상대기자 명단이 작성됐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22:00

공공안녕차장 재출근 

오부명 


22:17


수사부장 8층 이동


서울청 광역수사단장을 겸하는 서울청 수사부장


임경우 서울청 수사부장

이충섭 금융범죄수사대장(조사중)


지난 4일 수사관 104명으로 이뤄진 '광역수사단 경감 이하 비상대기자' 명단이 작성됐다. 


특히 서울청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 81명(반부패수사대 20명, 공공범죄수사대 21명, 금융범죄수사대 17명, 마약범죄수사대 23명)은 비상계엄령이 내려진 후인 4일 새벽 12시 25분부터 윤 대통령이 계엄을 해제하기 전인 오전 2시 4분까지 사무실에서 실제 대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 이현일 수사기획계장)


검찰은 계엄 선포 당일인 지난해 12월3일 오후 11시32분쯤 구인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이 이현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계장에게 전화해 "합동수사본부 구성 시 수사관 100여명, 차량 20대 파견을 요청할테니 미리 준비해 달라"고 최초로 요청했다.


11시 52분쯤 이 계장에게 다시 전화해 "여의도 인력 출동 예정인데 현장 상황이 혼란하여 안내할 인력이 필요하니 현장 경찰 5명 명단 제공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방첩사 5명, 경찰 5명, 군사경찰 5명을 한 팀으로 체포조를 편성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의심한다. 


이현일 계장은 서울 영등포경찰서 형사과장에 전화해 "방첩사에서 오는데 인솔해줄 형사 5명의 명단을 준비해 달라"고 요청하고 이튿날 새벽 0시 13분 방첩사에 영등포경찰서 강력팀장 등 5명의 명단을 제공했다.


이튿날 오전 1시쯤 국회 수소충전소 인근에 형사 10명을 포함한 경찰관 50명이 대기한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1분 뒤인 오전 0시 14분 방첩사는 "현장출동 인원이 늘어나 안내해 줄 인력이 더 필요하다"며 5명 명단을 추가로 요청했다. 이에 이 계장은 방첩사 구 과장에게 문자로 오전 0시 40분쯤 영등포서 경찰관의 10명 명단을 제공했다.


경찰청 이현일 수사기획계장은 이날 행안위 전체회의에서 비상계엄 당시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으로부터 전화를 받아 "'체포조'라는 이야기를 들었다"며 경찰이 체포조로 가담한 것 아니냐는 질문엔 "명단을 준 (영등포서) 형사들은 수갑도 없었다. 단순히 길 안내로 이해하고 활동한 것이지 체포라는 개념을 갖고 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서울 영등포경찰서 형사과장도 "방첩사 '체포조'가 오는데 인솔해줄 형사 5명이 필요하니 명단을 준비해 달라는 게 최초의 받은 연락"이라며 정치인 체포 명단에 대해 들은 바가 있냐는 질의엔 "일절 없다"고 일축했다.


1737258456218 (1).jpg

 

용혜인 기본소득당 비례의원 

강상문 영등포경찰서장

1737258406150 (1).jpg

권총 34정, 전자충격기 32정 ,가스분사기 2정

수갑 71정, 삼당봉 70개,방패 48기


 

1737258383916 (1).jpg

https://youtu.be/hv8apFZ1hUQ?si=Id6Ow3t0OBKg92mb


[서울경찰청장 직무대리 박현수]


더불어 민주당 한병도 의원 

36139_92957_4523.jpg

1.조지호 경찰청장 

수발신

12월 03일 22:31경 (15초)

12월 03일 22:32경 (42초)

12월 04일 01:12경 (2분50초)


2.경비국장 임정주

12월 03일 23:10경 발신

12월 03일 23:35경 발신


3.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12월 4일 01:16 (2분12초) 발신


4.영등포 경찰서장 

12월 04일 00:41 (49초) 발신

36139_92954_4229.jpg


https://youtu.be/0ELHjMUlf84?si=4TYzliQl6tG6gtWY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과 통화한 뒤 기록한 메모입니다.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등 정치인, 법조인들의 이름과 14명이라는 글씨도 보입니다.


JTBC가 검찰 특수단과 군검찰 등을 취재한 결과, 여 전 사령관의 부하인


구민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이 계엄 당일, 이와 사실상 같은 지시를 받았었다는 내용의 자필진술서를 검찰에 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구 과장은 12·3 내란사태 당일 밤 11시 4분쯤 김대우 방첩사 수사단장에게 임무를 부여 받았다면서 경찰에는 호송차를, 조사본부에는 구금시설을 확인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또 호송 및 구금 명단은 14명으로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조해주, 조국 등이었다고 적었습니다.


이어 이들을 인수받아 호송 후 구금시설로 이동한다는 임무를 하달받았다고 자필 진술했습니다.


구 과장은 또 "4일 새벽 0시 25분에 신모 소령이 소속된 1조가 출발했고, 최모 소령이 소속된 2조부터 순차적으로 출발했다"고도 진술했습니다.


'1조, 2조 축차 검거 후 방첩사 구금시설에 감금 조사'라고도 써 있는 홍 전 차장의 메모의 내용과 일치할 뿐 아니라 최소 2개 조가 실제 출동까지 했다는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헌법재판소에 출석해 홍 전 차장이 '탄핵 공작'을 벌인 거라고 공격했습니다.


[탄핵심판 6차 변론 (어제) : 12월 6일 바로 이 홍장원의 공작과 특전사령관의 김병주TV 출연부터 내란 프레임과 탄핵 공작이 저는 시작된 것으로 보여지고요.]


하지만 12·3 내란 사태 당일 방첩사에서 직접 지시를 받은 구 과장의 자필 진술로 윤 대통령의 '공작설'은 힘을 잃게 됐습니다.


https://v.daum.net/v/20250207185509178

 

'체포조 의혹'에 국수본 "경찰청장, 합수부 구성 명단만 준비 지시"

"방첩사로부터 위치추적·체포 명단 받은 사실 없어"

"체포 장구 없이 휴대전화 무전기만…체포조 의혹 유감"


박혜연 기자, 이기범 기자

2024.12.26 오후 03:30


업데이트 2025.02.04 오후 05:18


사진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국수본에서 취재진이 대기하는 모습. 2024.12.19/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박혜연 이기범 기자 = 경찰이 계엄 당시 '체포조 동원' 의혹을 부인하며 "합동수사본부 구성 관련해 명단만 준비하라고 경찰청장이 지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창훈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과장은 26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나 "방첩사의 합수부 구성시 수사관 100명, 차량 20대 파견을 준비해달라는 요청에 대해 (조지호) 경찰청장이 '명단만 준비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국수본에 따르면 계엄이 선포된 직후인 3일 밤 11시 30분 넘어 국군방첩사령부 수사조정과장인 구민회 중령이 이현일 경찰청 수사기획계장에게 전화로 '합동수사본부 구성시 수사관 100명과 차량 20대 파견 요청할테니 미리 준비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수사기획계장 보고를 받은 조 청장은 "명단만 준비하라"면서 또 방첩사를 지원할 현장 인력 5명 명단을 보내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 5명은 영등포경찰서 형사과 강력팀 소속 형사들이다.

다만 전 과장은 "해당 5명은 방첩사와 연락이 안 됐다"며 "5명은 연락을 받기 전에 (인파 관리 지원을 위해) 국회 수소충전소로 갔다"고 말했다.


이후 방첩사가 '현장 출동 인원이 늘어나 안내해 줄 인원이 더 필요하다'며 5명 명단을 추가로 요청하면서 총 10명 명단이 보내진 것이라는 설명이다.


당시 제주도 출장 중이었던 우종수 국수본부장은 사후 보고를 받고 "인력 지원은 엄격히 법령을 검토해야 하므로 내일 아침 일찍 서울에 갈 때까지 최대한 시간을 끌면서 방첩사 요구에 응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고 했다.


전 과장은 "우 본부장을 포함해 수사기획국장, 저, 수사기획계장 모두 계엄 발령을 사전에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며 "계엄 이후에도 방첩사로부터 위치 추적 명단, 체포명단 등을 전달받은 사실이 일체 없다"고 강조했다.


또 "현장 안내 목적으로 이미 국회 주변에 비상소집된 경찰 연락망만 제공했다"며 "수갑 등 체포 장구는 구비하지 않고 안내 목적으로 간 것이기 때문에 휴대전화 무전기만 가지고 갔다"고 설명했다.


전 과장은 "일부 언론에서 나온 '경찰 50명이 국회의원을 체포하러 갔다'는 보도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그곳에 있던 경찰관 다 의원을 체포하러 갔다는 논리"라며 "이에 대해 심히 유감을 표한다"고 덧붙였다.


https://www.news1.kr/society/incident-accident/5643264

 

https://cafe.naver.com/studiothetamsa/16086?tc=shared_link

 

https://cafe.naver.com/studiothetamsa/15959?tc=shared_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