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지난 3일 美 트럼프가 한반도 평화 정착에 노력을 해달라는 한국 국민 뜻을 전달하는 차원이라는데 美 트럼프는 북핵 비핵화를 추진하겠다고 하고 김정은은 북핵은 흥정물 아닌 불변의 실전용으로 비핵화협상 거부 트럼프가 무슨 평화정착을 했다는 것인가?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자로 추천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3일 국회 본청에서 취재진과 만나 "박 의원이 트럼프 행정부와 문재인 정부 시절에 (트럼프 정부를) 접촉하면서 북미간 대화 등을 했던 경험을 토대로 해서 박 의원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노벨상 추천을 한 모양"이라고 밝혔다.

국정원 출신인 박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했다고 적은 메모를 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김민석 최고위원에게 보여주며 대화하는 사진이 찍혔다. 이에 대해 조 수석대변인은 "1월 말까지 노벨상 추천을 하게 돼 있는 것 같다"면서 "추천은 개인도, 단체도 할 수 있는데 1월30일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노벨평화상 추천을 했다고 이 대표와 김 최고위원에게 공유한 내용"이라고 부연했다.

추천 사유에 대해서는 "아쉽게 좌초되긴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1차 재임 기간에 북미 대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 정착에 어느 정도 전기를 만든 단계까지 가지 않았나"라고 부연했다. 이어 "노벨평화상을 추천하는 게 트럼프, 북한과의 대화에 있어서 한반도 평화 정착에 노력해달라는 한국 국민 뜻을 전달하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미일 정상이 공동성명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원칙을 명시한 데 대해 "긴밀한 한미일 공조를 바탕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적극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 8일 밝혔다.

이날 외교부는 "미일이 정상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하고, 한미일 공조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을 환영한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7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발표한 공동성명에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한미일 3국 공조 강화 등이 담겼다. 지난달 20일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미국 공식 외교 문서에 북한 문제와 관련한 '완전한 비핵화' 원칙이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대해 북한은 8일 자신들의 핵무력은 "불변의 실전용"이라면서 비핵화 협상 거부 방침을 재확인했다.

북한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에도 실린 논평에서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유럽연합(EU) 대변인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할 수 없으며 핵무기와 대량살상무기(WMD) 등을 폐기해야 한다고 밝힌 데 대해 "구시대적 망발"이라고 일축했다.


통신은 나토와 EU가 "망언들을 줴친 것은 세계의 《안전》과는 아무런 인연도 없으며 오직 있다면 우리 국가를 무장해제 시켜 저들의 불순한 정치군사적 목적을 순조롭게 이루어 보려는 대결 광신자들의 야망의 발로일 뿐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한계를 모르고 비약하는 우리의 핵무력 강화 정책의 당위성이 더욱 부각되는 리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밝혔다.

통신은 "다시 한번 명백히 말해두지만 우리의 핵은 그 누구의 《인정》이나 받기 위한 《광고물》이 아니며 몇푼의 돈으로 맞바꿀 《흥정물》은 더욱 아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