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과 안철수는 대통령의 고유권한인 계엄을 선포했다고 1호 당원이며 대통령을 탄핵까지 해야 옳다는 것인가? 계엄반대와 탄핵반대는 엄연히 다른 개념인데 이걸 다 하고서 지금 잘했다고 뻔뻔하게 나오면서 배신자가 아니라고 우기는가?
국민의힘에 탄핵찬성 자들이 없었다면 계엄을 선포했다고 윤석열 대통령이 파면을 당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럼 지금 조기대선도 없었던 것이고, 이재명이 대통령이 당선될 걱정도 하지 않아도 되었다. 이게 다 국민의힘 탄핵찬성 파들로 인하여 벌어진 일인데 이들이 지금 탄핵반대파들을 공격하는 모습을 보니 적반하장도 유분수로다.
24일 시작된 국민의힘 대선 경선 ‘1대1 맞수 토론회’에서 후보들은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등을 두고 날 선 공방을 벌였다. 다만 민주당 이재명 경선 후보를 막아야 한다는 점에서는 한목소리를 내며 보수층의 지지를 호소했다.
이날 토론에선 김문수·한동훈 후보가 1부, 안철수·김문수 후보가 2부에서 각각 맞붙었다. 서로를 토론 상대로 지목한 한동훈·홍준표 후보는 25일 토론을 펼친다. 국민의힘은 26일 4자 토론을 거쳐 29일 2차 경선(당원 투표 50%+국민 여론조사 50%)에서 후보를 2명으로 압축한다.
◇탄핵 책임 두고 공방
윤 전 대통령 탄핵을 반대했던 김 후보는 두 후보에게 탄핵의 책임을 물었다. 그는 한 후보를 향해 “윤 전 대통령에게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은 후배’였다. 그런데 윤 전 대통령한테 하는 것을 보니까 ‘저 사람은 사람인가’라는 생각을 했다”며 “윤 전 대통령을 찾아뵙고 ‘인간적으로 못할 짓을 했다’(고 사과하고), ‘당대표를 하면서 탄핵(소추)을 성사시킨 것 잘못했다’고 당원들에게 정중하게 사과를 하라”고 했다.
그는 안 후보를 향해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장으로 윤석열 정부 출범의 산파를 했는데 꼭 대통령을 탄핵했어야 했느냐”고 했다.
이에 한 후보는 김 후보를 향해 “계엄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갖고 계신 것 같다”며 “그러면 이번 선거를 치를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아버지가 불법 계엄을 해도 막아야 한다. 공직은 개인의 하사품이 아니다. 충성은 나라에 해야 한다”며 “대통령의 잘못을 바로잡으려고 한 것이 저밖에 없었다. 누가 배신을 한 것이냐”고 했다.
안 후보도 “국민 앞에 먼저 진심으로 솔직하게 사과를 해야 탄핵의 강을 넘고 이기는 길로 갈 수 있다”고 했다.
김 후보는 “계엄이 잘했다는 게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우리 당의 대통령을 탄핵함으로써 이재명이라는 천하의 범죄 혐의로 재판을 받는 사람이 날뛰고 온 전국을 휘젓고 있다”고 했다.
◇당 게시판, 전과 논란으로 치고받아
김 후보는 한 후보 가족이 지난해 온라인 당원 게시판에 윤 전 대통령 부부를 비방하는 글을 올렸다는 의혹과 관련한 질문도 했다. 이에 한 후보는 “계엄에는 관대하고 당 게시판에는 아직까지도 예민한 것이냐”며 “당원들이 익명의 게시판에서 대통령이나 영부인이나 혹은 저 같은 당대표를 비판하는 글을 게시하면 안 되냐”고 했다.
한 후보는 김 후보를 향해 “총 전과(前科) 숫자로 보면 김 후보가 이재명 후보보다 많다”며 “대통령이라는 법치의 상징을 기본적인 수칙을 지키지 않은 사람이 할 수 있는 자리냐“고 공격했다. 김 후보는 “직선제 개헌 쟁취를 하다가 (감옥에) 갔고, 이재명 대표의 개발 비리나 검사 사칭과는 다르다”고 했다. 한 후보는 “폭행 치상 전력도 갖고 계시다”고 했고 김 후보는 “그런 사실은 없다”고 했다.
다만 토론이 끝난 뒤 김 후보 캠프는 1996년 15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선거운동을 방해하는 상대 정당 관계자를 제지하다 상해로 벌금 30만원을 선고받은 사실이 있다고 공지했다. 한 후보는 또 김 후보가 과거 119로 전화를 걸어 ‘나 도지사인데’라며 관등성명을 요구했던 것을 두고 “이해할 수도 있지만 과연 일하는 젊은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는 건가 하는 의심이 들 수 있다”고 했다.
다만 후보들은 “이재명 집권을 막자”는 데는 뜻을 같이했다. 김 후보가 “이재명 후보와 민주당이 만든 노란봉투법은 정말 말도 안 되는 법이고 중대재해처벌법도 전부 처벌 위주라 문제가 많다”고 하자 한 후보는 “전부 동의합니다”라고 대답했다. 노란봉투법은 노조의 불법 파업으로 회사가 피해를 봤을 때 노조원 개개인의 책임을 회사가 입증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 후보는 “기업을 못살게 굴면 대한민국에 어느 기업이 오고 우리 청년은 어떻게 앞으로 일자리를 구하냐”고 했다. 한 후보는 “같이 고쳐나갔으면 좋겠다”고 화답했다.
안 후보가 “(이재명 후보가 제시하는 25만원 소비 쿠폰과 같은) 무분별한 포퓰리즘은 절대로 반대한다. 다만 교육이나 의료, 주거 영역에서의 기초 복지는 국가에서 책임져야 한다”고 하자 김 후보는 “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