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025년 서울 부동산 시장 분기별 동향

 


 

2022년: 급격한 하강 ?

 

2022년은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대출 규제(DSR) 강화의 직격탄을 맞으며 매수 심리가 급격히 얼어붙은 한 해였습니다.

  • 1분기: 상승세가 둔화하며 보합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전반적인 거래량 감소가 시작되었습니다.

  • 2분기: 본격적인 하락세로 접어들었습니다. 금리 인상 압박이 커지며 매물이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 3분기: 낙폭이 확대되었습니다. '영끌' 매수자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고, 추가 하락 기대 심리로 거래 절벽 현상이 심화되었습니다.

  • 4분기: 연중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급매물이 속출하며 서울 전역에서 가격이 큰 폭으로 조정되었습니다.


 

2023년: 바닥 다지기와 반등 ?

 

정부의 전방위적인 부동산 규제 완화(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완화, 대출 규제 완화 등)와 연초 출시된 특례보금자리론이 시장의 급락을 막고 반등을 이끌었습니다.

  • 1분기: 하락세가 진정되고 급매물이 소진되기 시작했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 공급으로 중저가 단지 위주로 거래가 살아났습니다.

  • 2분기: 서울 아파트값이 15개월 만에 상승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송파구 등 일부 지역의 대단지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나타났습니다.

  • 3분기: 상승폭이 확대되었습니다. 바닥 인식 확산과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중단(9월)을 앞두고 막차 수요가 몰렸습니다.

  • 4-분기: 상승세가 다소 둔화되었습니다. 가계부채 관리 강화와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며 관망세가 짙어졌습니다.


 

2024년: 재상승과 양극화 ?

 

전셋값 상승이 매매 수요를 자극하고, 신규 공급 부족 우려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맞물리며 다시 상승세가 뚜렷해졌습니다.

  • 1분기: 보합세를 유지하며 숨을 고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총선 등 정치적 이벤트로 인한 관망세도 일부 작용했습니다.

  • 2분기: 상승세로 명확히 방향을 틀었습니다. 서울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가 속출했으며, 전세난에 지친 세입자들이 매매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었습니다.

  • 3분기: 상승폭이 더욱 커졌습니다. 특히 신축 및 역세권 대단지 등 선호도 높은 단지 위주로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며 지역별, 단지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었습니다.

  • 4-분기: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지속적인 전세 불안과 입주 물량 감소가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2025년 (현재): 상승세 지속 ?

 

2024년의 상승 흐름이 2025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 1분기:연초에도 상승세가 꺾이지 않았습니다. 누적된 공급 부족 문제와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시장의 기대 심리를 자극하며 견고한 상승 흐름을 보였습니다.

  • 2분기 (현재):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추가적인 공급 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당장의 공급 부족과 높은 전셋값이 매매 시장을 계속해서 밀어 올리는 양상입니다.

--------------------------------------------

 

뉘랑아~ 

22년도에는 부동산 하락.. 윤석렬은 5월 부터 임기 시작.. 

23년도에 부동산 규제 풀면서 서울 부동산 상승... 이때 대통령 누구?? 윤석렬!!! ㅋㅋㅋㅋ

24년 대통령은 누구?? 윤석렬!!! ㅋㅋㅋㅋ

 

이재명 대통령 임기 시작은 언제?? 25년 6월!!! 이제 두달째 접어듬..ㅋㅋㅋㅋㅋ


그럼 지금 부동산 상승에 대해 어느 정부에 책임을 물어야 할까?^^

 

대가리가 있음 생각 점 하고 살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