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v.daum.net/v/20210604050115227

179da8bd1a44df9c7.jpg

종양이 올린 이 기사가 일본에도 전해져서 KF-21을 물고 뜯고 씹고 맛보며 즐기고 있다네.

 

 

 

 

이건 링크 걸어둔, 종양을 반박하는 견향의 기사 내용.

 

 

문프의 일정에 맞추느라 출고식 행사를 무리하게 앞당겼다?

당초 5월 예정이던 출고식 일정이 앞당겨진 것은 사실이나 해외에서도 어떤 전투기든 개발비를 아끼고 돌발 변수에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벌기 위해 일정 단축에 전력투구한다.

 

 

KF-21 전투기의 중량이 계획보다 초과했다?

5월 중 실시한 중량과 평형 시험에서 목표 중량을 약간 밑도는 수준을 유지했다

 

 

캐노피(조종석 덮개)까지 분리한건 심한건 아니냐?

연료탱크에 공기를 한계치 이상으로 주입하는 가압시험에서 엔진 등의 탈거는 필수적이고, 조종석 뒤에 있는 연료탱크 시험을 위한 과정에서는 캐노피(조종석 덮개)를 떼어내기도 한다

 

 

전투기 분해·조립 비용은 엄청나다?

지상시험 자체가 주요 구성품 탈착을 통해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추가 비용 역시 발생하지 않는다. (작전에 투입되는) 일선급 전투기일수록 엔진을 가능한 쉽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기술적 위험이 크지 않다. 공군의 일선 전투비행단에서도 수시로 탈착할 만큼 비용이 높지 않다.

 

 

뼈대(기골)가 보일 정도로 분해했다?

장비 점검용 도어(door)를 개방한 것 뿐이며 '랜딩기어'(바퀴)는 손도 안댔다.

 

 

해외서도 출고식 뒤 재분해 사례는 매우 드물다?

극한의 상황에 대비해 한계치에 가까운 테스트가 진행되는 연료계통 시험에서 주연료 탱크 주변 구성품의 탈착은 개발 과정의 자연스러운 수순이다. 주요 구성품 탈착은 어느 국가에서나 시제기 시험 과정에서 다반사로 일어나는 일이고 F-35 개발과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기사 마지막 부분에 종양 기레기가 삐진 이유를 말하는듯.

- "전투기 개발의 일정과 진행 상황을 공개할 경우 R&D(연구 및 개발) 관련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도 있다"며 "이번 기회에 주요 무기의 개발과 정보 공개에 대한 범위와 한계를 미국과 유럽 국가들 수준으로 명백하게 정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