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jpg


전기 손실 0% 송전로를 만들기 위해서,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초전도체 기술을 도입하면 되는데,


초전도체 현상이라는것은 원자의 운동 상태가 멈춰, 


자유전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현상이야.


그런데 전기 저항이 사라진다는 의미가 무엇을 의미하는걸까,


그건 외부와의 열 교환이 없다면 전기가 흐르면서 전기 저항에 의한 열 발생이 생기지 않는다는것을 의미하는거야.



3.jpg

 

 

A에는 구리 산화물 전선이 들어가있고, B에는 액화 수소가 지나가는거야.


액화수소 파이프 안에 구리 산화물 전선이 들어가있는거지.


이 구리 산화물은 -183도가 되어야 초전도체를 띄는데, -252도까지 유지하는거야.


그리고 C는 피복관인데 마찬가지로 -183도에서 초전도체가 되도록 하는거지.


그리고 D의 공간은 진공의 공간으로 열이 전도나 대류로 교환되지 않도록 하는거지.


E는 자석으로 초전도체선을 부상하기 위해 설치해둔건데,


이것을 설치하지 않으면 중력에 의해서 초전도체선이 끊어지거나 땅에 닿아 열이 전도되어,


열 교환이 이루어져서, 냉각 비용이 높아지겠지. 


그래서 전자 피복관으로 둘러서 초전도체가 진공의 공간 중심에 있도록 하는거야.


이렇게 외부와의 열이 전도, 대류, 복사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공 관으로 초전도체선을 덮어주는거지.


구리 산화물 전선이 초전도체가 되어서 전기 저항이 사라지게 되면, 


전력 손실이 사라지고, 전기가 흘러도 열이 발생하지 않게 되면서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거야.


한전에서만 약 1년에 1조 6755억원의 송배전 전력 손실량이 추정되는데,


이 기술을 도입해서, 송배전 전력 손실량을 99%를 낮추게 되면 매년 1조 6천억원의 수익이 발생하는거야.


미국에서만 한 해 22조원의 송배전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데,


전 세계 모든 국가를 기준으로 하면 매년 최소 100조이상 송배전 전력 손실을 보고 있다고 할수있지.


그래서 이 초전도체선이 개발되면 전기가 열로 전환되는것을 막아. 


지구 온난화도 막고, 전력 손실도 막아 엄청난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것과 같아


초전도체 기술이 상용화 되면 인류는 에너지 문제에서 더 자유로워질수있어.


초전도체 상용화를 단 10년만 앞 당겨도 1000조원의 에너지 이익이 생기는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