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TO 32개 회원국 F-35의
LINK-16
한국은 ...
미군이 매일 발급하는 암호키가 있어야
LINK-16이 활성화되어 F-35를
제대로 운용함.
NATO에서 4개국 ...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스페인은
LINK-16을 독자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매일 발급하는 암호키가 필요 없으며
F-35 운용에 상대적으로 자유로움.
■LINK-16 미국과 유럽의 공동개발
1970년대 중반 미국이 독자 개발하였고,
1990년대 미국과 유럽 4개국은
LINK-16을 사용할 수 있도록
LINK-16 단말기(모뎀) 외부에 추가 부착하는
일종의 징검다리 역활 단말기를 공동개발 함.
Link-16의 암호장비에 해당 되는 MIDS LVT 생산 과 독자적 암호체계 구성은 MIDS 개량 사업에 참여한,
본문에서도 언급한 프랑스,독일,스페인,이테리만 가능 합니다.
NATO 회원국이 참여 했다고 해서, 그 권리를 모든 NATO 회원국이 받는게 아닙니다.
Link-16 암호키가 대표적인 예일 뿐, 본문에 있듯이 해당 기술은 TADIL 이름으로 미군
네트워크로 개발 되었다가, NATO에 그 네트워크망에 가입 시켜준겁니다.
한마디로 Link-16 설계기술은 미국만의 기술이고, 대부분 공유를 하지도, 공개하지도 않습니다.
암호키가 아니더라도 Link-16망에서 해당 노드만 차단 해도, 그 국가는 아예 Link-16 사용 불능에 빠집니다.
본문 내용만 얼핏 보면, 한국만 통제 하는식으로 기술 하셨는데,
Link-16을 사용하는 모든 국가가 미국의 전술데이터네트워크에 종속 되어 있다는 맞는겁니다.
더 살펴보니 명칭상 그런 것 이고,
4개국만 가능한 것 이네요.
또 다른 공동개발국은 찾다 알게 된거에요.
영국이 빠지고, 프랑스가 들어가 있는게 참 의외더라구요.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