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빠진 공군, 왜 이럴까? 해결책은?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army&No=132305
별 병신같은 글이 있어서 한자 적어 봅니다.
1. 공군의 허리를 담당할 전투기 조종사는 대부분 소령, 중령급인데
사실 대부분의 조종장교들이 이때를 전후로 민항으로 많이 넘어가기 때문이다.
=> 공군 조종사 허리이자, 핵심계급은 소령,대위급 조종사 들 입니다.
중령 정도 되면 비행대대장 또는 그라운드 업무로 돌려지는 행정업무가 더 많은 직책 입니다.
중령이면 계급정체로 인해 떠나주길 바라는 계급대 입니다.....근데 웬 허리??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98650
"우리나라에 현역 공군 전투기 조종사는 모두 약 1,700명입니다. 대위가 약 780명, 소령이 약 540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하는데요." 심지어 본인이 인용한 도표의 출처 뉴스 내용에도 있는거네요..
그리고 조종사들이 민항으로 넘어가는 이유는, 맨 아래 "공군 조종사 조기전역 비상" 참조 하세요,
2. 공사출신 조종사는 전체에서 약 30~40% 정도이고 나머지는 조종후보생, 타군 출신이 차지한다.
=> 참.... 별 병신 같은 소리를 씨부려 놨네요....누가 몰이견 아닐라까봐....ㅋㅋ
참 어떤 망상을 짜내서 무슨 몰이 하는거 참 잘해요.
구글 검색 하다 아래의 AI 개요 보고 얼씨구나 하고 인용 했나 봅니다...ㅋㅋ
제가 이것땜에 글 씁니다....병신질도 어느정도 해야죠...ㅋㅋ
여러분들에게 팁하나 드리면 Ai 100% 믿지 마세요.
그 답변 대한 근거가 되는 인터넷 주소 또는 문서 등등 달라고 해서 못주면 의심 해봐야 합니다.
그럼 저 30~40% 근거는 어디서 나왔을까요?
조종사 비중,비율로 검색 하다 보면, 아래사진 글을 많이 봅니다.
네....공사 졸업생 중 30~40% 정도만 조종사가 된다는 겁니다.
전체 조종사 중 30~40%가 공사 출신 이 아니라,
공사 졸업 인원 대비 조종사가 되는 비율 라는거죠.
근데 이것도 정확한 %가 아닌 출처가 불분명한 비율 이라는 겁니다.
보통은 기수에 따라 틀리지만, 기사 나 블로그 내용들을 종합 해보면,
공사 졸업생 중 평균적으로 50% 전후로 초,중,고등 비행교육을 이수하여
빨간 마후라를 받는걸로 보입니다.
그럼 조종사 중 공사 출신은 얼마나 될까요?
출신별 비중은 검색으로 잘 안나오지만, 기수별로 2차례로 나뉘어진
고등비행교육 과정 수료를 보면 참조를 할수가 있더군요.
공사기준으로 기수로 찾을수 있는게 65기 와 66기 있었습니다.
*18-2차 고등비행교육과정 수료식 75명
(공사65기 37명, 학군44기 38명)
*18-3차 고등비행교육과정 수료식 50명
(공사65기 39명, 학사138기 11명)
결과 : 공사 76명 / 학군 38명 / 학사 11명 (공사 76명 비공사 49명)
*19-2차 고등비행교육과정 수료식 58명
(공사 66기 31명, 학군 44기 1명, 학군45기 25명, 학사 138기 1명)
*19-3차 63명
(공사 66기 40명, 학군 45기 2명, 학사 140기 21명)
결과 : 공사 71명 / 학군 28명 / 학사 22명 (공사 71명 비공사 48명)
대략적으로 공사 와 비공사 비중은 6 : 4 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공사 조종사 출신이 30~40% 라고 하는게 왜 ?헛소리 인지 다들 아시겠죠.
위에서 언급 되는 학군, 학사 (조종장학생)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사출신 조종사는 전체에서 약 30~40% 정도,"
"사관학교 출신이 아닌 조종사들은 더더욱이 군에 남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무슨 꼴이 나냐? 공군에 허리를 담당할, "비행 군기"를 담당할 조종사가 사라지는 것이다."
=> 조종사들의 대부분을 차지 하는 (본인 뇌피셜 주장으로는) "비공사 출신"은
군에 남지 않으니 조종사들을 이끌고, 교육할 고참급 조종사가 없다고 하는 저런 망상증에 가까운
허무맹랑한 주장을 하고 있는거죠.
저 헛소리들의 핵심 근거인 공사 출신 조종사 비중은 전체 조종사의 30~40% 라는
자체가 오류 인데, 이후 내용은 볼것도 없다는 이야기 입니다.
"민간에서도 자기돈 들여서 조종사 자격증 따고 비행시간 채우고도 항공사에 채용되지 않아서 떠도는
사람이 이미 1000명이 넘는 시대다."
=>그 천명이 과연 전투기 조종사로써 비행시간 과 경력을 충족하지는 참 궁금 해지네요.
전례없는 오폭사고의 책임이 전적으로 자신에게 있다고 한 공군 참모총장이
대국민 사과를 한지 얼마나 됬다고 항공 우주력 발전 세미나 따위나 할 여유가 있는가?
=> 살다 살다 별 병신 같은 트집질을 하고 있네요..
공군사관학교 출신으로만 공군 지휘관을 채울 셈인가?
그리고 공군참모총장.
https://www.bobaedream.co.kr/view?code=army&No=132310
=>미공군 역대 참모총장들이 어쩌구 하는거 보고 어이가 없었는데.
비교를 하려면 일단 국군 3군 참모총장 출신이 어떤지 봐야죠.
대한민국 육군 참모 총장 : 49대 남영신 대장 빼고는 모두 육사 출신
대한민국 해군 참모 총장 : 모두 해사 출신.
대한민국 공군 참모 총장 : 모두 공사 출신
이게 공군만의 문제인가요?
제가 보배에 있으면서 본 병신력 중 한 두번째는 되는것 같네요....ㅋㅋ
이후 잡담....
그리고 비공사 출신들의 전역.
여기서 생각 해볼것이, 위의 공군 ROTC는 국내 항공운항과 즉 민간조종사 양성 학과 라는 겁니다.
나머지 조종장학생이 일반대학 출신자 입니다.
자 여기서 고민 해볼껏이, 과연 두 부류의 조종사들이 과연 군문에 뜻을 담고,
난 공군에서 꼭 별을 달꺼야 하고 지원 하는 인원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조종사 의무복무기간을 보면 공사는 15년, 비공사는 13년 입니다.
만 23세쯤에 임관을 하면 보통 38살,36살 입니다.
이때 뭐가 있냐면, 민항사 취업 연령대가 만 42세 이하 이지만,
40세 이상은 잘 안뽑는다고 합니다.
이글 보시는 본인들이 ROCT 또는 조종장학생이라면 36~38살쯤에 의무복무 기간이 끝납니다.
과연 어떤길을 택하시겠습니까?
심지어 저 나이대면 결혼해서 가정을 꾸미고, 처,자식이 있습니다.
제가 어떤길을 택하시겠냐고 물었지만, 대부분은 이미 학생 때 장기 플랜을 짠 상태에서
임관 했다는게 맞겠네요....대부분 조종사를 택할때 이미 진로는 정해졌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리고 저때가 바로 최고의 기량을 자랑하는 대위말,소령 계급때가 많습니다.
중령 달고, 소령때처럼 비행시간이 많을꺼라 생각 하면 오산 입니다.
위에 잠깐 언급 했지만, 중령 정도면 비행 보다는 행정업무가 더 많은 직책 입니다.
문제는 조종사들은 자동적으로 진급을 한다고 합니다만,
과연 탑건 매버릭 처럼 대령 달고, 전투기를 조종 할수 있다 보십니까?
심지어 매버릭은 별4개짜리 제독인 아이스맨을 친구로 두고 있어서 빽이 든든했죠.
그정도 빽이 있으면 가능할지도......ㅎㅎ
네..대위말, 소령때 자기인생을 걸어야 할 갈래길에 서 있는겁니다.
아래 두기사는 참조들 하시라고 올립니다.
대한민국 삼군의 비사관학교 장성 진급에 대한 뉴스 입니다.
진짜 ’하늘의 별따기’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FQBB6P9D
"해군과 공군은 군 특성상 처음부터 장기복무를 하는 해사, 공사 출신들이 유리해 90%가 넘는
장성 진출률을 기록하며 비사관학교 출신들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래는 조종사 조기전역에 대한 상세하게 다룬 기사 입니다.
공군 조종사 조기전역 비상
https://shindonga.donga.com/society/article/all/13/105227/1
왜 조또 모르면서 깝니까..
이유가 뭡니까?
해군이면 해군 육군면 육군 아는거 쓰지
군게개판 됐다고 막싸지르는?
조또 모르면서 바닷물로 돌린다지 않나
해군 모르는 입장에선 믿을뻔 했잖슴...
둘다 멍멍 소리를 하두 해대니 헷갈리신듯..ㅎㅎ
개인적으로도 공사출신 지인들과 민항사 파일럿 지인들에게 들은것과는
너무 거리가 먼 글이라서 객관성 없는 개인의 망상이라 예상되긴했습니다
최소한 군사게시판에는
이렇게 객관적 정보와 뉴스정도만 올라오면 좋겠습니다
객관성은 커녕 뇌피셜 수준의 유치한 망상같은건 굳이 댓글로 지적해주는 것 조차 시간아깝고
쓰레기같은 국뽕 유튜브로 조회수 올리려는 부류들에게도
굳이 반응해주기 보다는 무시하는 것이 가장 좋은듯 합니다
어지간해서는 댓글 안달거든요.
근데 이번건은 한마디 해야 할 사안 같아서 올렸죠...ㅎㅎ
속이 시원하네요
추천드리지 말입니다
0/2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