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하루 에너지 섭취량이 감소하며, 영양섭취가 부족한 국민 비율이 지난 10년간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 국민건강통계’에 따르면,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세 이상 국민 중 영양섭취 부족자의 비율이 17.9%에 달했다. 이는 2014년 8.4%에서 2023년 17.9%로 증가한 수치로, 10년간 약 2.1배 늘어난 것이다.
‘영양섭취 부족자’란 에너지 섭취량이 ‘한국인 영양섭취 기준’의 필요 추정량의 75% 미만이면서,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래빈 등의 주요 영양소 섭취량이 모두 평균 필요량을 밑도는 사람을 의미한다.
2023년 기준으로 특히 10대 남성(23.5%)과 20대 여성(25.6%)의 영양섭취 부족 비율이 높아, 각각 4명 중 1명 이상이 기준치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뚜렷했다. 소득 ‘하’ 그룹의 영양섭취 부족 비율은 21.0%로, 소득 ‘상’ 그룹(14.6%)보다 높았다.
영양소별 부족 비율을 보면, 칼슘과 비타민A의 섭취 부족은 각각 71.0%, 72.4%로 가장 높았고, 철(56.4%)과 리보플래빈(27.9%)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국민 1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2014년 2067.6㎉에서 2023년 1862.1㎉로 약 200㎉ 감소했다. 이는 에너지 필요 추정량(20대 남성 2600㎉, 여성 2000㎉)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청소년과 젊은 층의 영양 부족이 장기적으로 건강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며 “균형 잡힌 식단과 소득 계층별 영양 불균형 해소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 약 1만명을 대상으로 매년 실시되며, 식품 섭취량은 조사 이틀 전 하루 동안 먹은 음식을 기록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래소 찾아봤지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연도별 자료가 보기쉽게 메인에 있길래
자료 찍어왔어우~
딱 봐도 직접 그려온거 티나주@_@키키킼
보니까 전반적으로 영양섭취율이 15, 16년을 기점으로 떨어지고 있어우~
하필이면 이때를 기점으로 부동산도 오르고 물가도 바뀌고 미중무역전쟁도 하고
코로나도 터지고 바가지도 긁히고 출산율도 떨어지고 도시락도 싸가거나
런치인플레이션 말이 나오는 시점이지우@_@키키킼
예전에도 그랬지만 직장인, 학생들중에 삼시세끼 챙겨먹는 사람 드물어우~
적당히 2끼반정도 먹을거애우~ 반끼는 대애충~ 정신없이~ 굶거나 허겁지겁이거나~
게다가 영양불균형 평균값에 차지하고 있던 '회식이 빠져서' 아닐까 조심스레 예측해봐우~
어쨋거나 저쨌거나 일반 도시 남자 2400 먹으믄 조금 헤비할거애우~
1800 이면 쫌 부족할테구우~
근데 제 지론은 부족하다고 하는 칼슘, 비타민A 따로 챙겨먹으면 되는거 아닌가 싶어우~
우연찮게도 비타민A가 많은 음식은 당근, 토마토, 생선, 달걀 류애우~
수달이가 스테비아 방토 2년간 핫딜 하고 당근 스틱 홍보했던게
수작질은 아니였단 거주@_@키키킼
그러니 순순히 찌찌누나를 바치새우@_@히히힣
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