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신호정보' 활용해 교통안전 강화·미래모빌리티 연구
자율주행차 (CG)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자율주행차의 신호정보 인식 속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차량은 더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고, 운전자는 신호 잔여 시간 확인과 더 빠른 경로 안내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경찰청은 16일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현대차·기아 남양기술연구소에서 도로교통공단, 현대차·기아와 함께 '미래형 모빌리티 시대 대비, 데이터 융복합 기반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협약에 따라 세 기관은 경찰청이 제공하는 '실시간 교통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 실시간 교통 신호정보 연계처리 및 데이터 융복합 기반 구축 ▲ 신호정보를 활용한 경로 안내 서비스 ▲ 자율주행 등 미래차 기술 연구개발을 포함한 교통안전을 위한 데이터 활용 ▲ 미래 모빌리티 관련 연구·사업 수행 등을 추진한다.
특히 현대차·기아는 내비게이션을 통한 신호 잔여 시간 표출 서비스, 차량 흐름 개선, 운전 습관·행태 분석 등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을 위한 사업에 활용할 계획이다.
기존에 자율주행차와 실외 이동로봇은 교통 신호정보를 자체 센서로 인식했다.
그러나 대형차량으로 인한 시야 제한과 기상 악화(폭우·안개 등) 등으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 교통안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경찰청은 도로교통공단과 2017년부터 5년에 걸쳐 실시간 교통 신호정보를 자율주행차에 직접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자율주행차에 주는 신호정보와 현장 신호정보 간 차이를 '0.1초 이내'로 줄이는 실시간성을 확보했다.
향후 경찰청은 부산·대구·인천 등 전국 11개 지방자치단체와 3개 민간업체(카카오모빌리티·티맵모빌리티·아이나비시스템즈)가 포함된 협의체를 활용해 해당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내년에는 정부 예산 4억4천만원을 들여 자율주행차와 실외 이동로봇 대상으로 실증사업을 할 도시를 공모한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모빌리티 혁신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 전제된 기술의 상용화"라며 "민간과 공공이 서로의 벽을 허물어 데이터를 공유하고 융복합해 기술 개발에 협력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 최고기술책임자(CTO) 김용화 사장은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민관 데이터의 융복합과 기술 고도화 협업 체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운전자 편의 향상은 물론 교통안전 증진에도 공공과 협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