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발상황에만 운전자 개입…50만㎞ 운행 무사고 '자율주행 시스템' 핵심


하동 자율주행버스 도입

[경남 하동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하동=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최근 경남 하동에서 시범운행을 시작한 농촌형 자율주행버스가 안정적으로 운영돼 지역민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군은 50만㎞ 운행 동안 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자율주행 시스템에 운전자가 돌발상황에 대처하는 '레벨3 단계'로 버스를 운행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군민 우려를 덜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하동에서는 지난 14일부터 하동 읍내 주요 구간 6.7㎞를 순환하는 농촌형 자율주행버스가 20분 간격으로 돌아다닌다.


이 버스가 자율주행할 수 있는 핵심인 자율주행 시스템은 국내 관련 업체인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개발했다.


운전자의 눈과 기억을 모방한 카메라와 라이다(LiDAR) 센서를 융합해 안전성과 기능을 높인 것이 이 시스템의 특징이다.


이 중 360도 회전이 가능한 라이다 센서는 차량 전후좌우에 4개가 장착됐다.


이 센서는 전방 최대 150m까지 레이더를 쏴 운전자가 도로의 생김새 등 주변 환경을 기억하듯 사물과 지형을 3D 형태로 형상화한다.


운전자의 눈 역할은 차량 전후좌우에 설치된 5대의 카메라가 수행한다.


자율주행에 카메라만 사용하는 테슬라나 라이다를 주로 사용하는 폭스바겐 등과 달리 두 기능의 장점을 한데 모아 핸들이나 브레이크를 조작한다.


이 시스템은 소형차, 버스 등 차량 13종에 적용돼 국내 13개 도시에서 약 51만5천㎞ 운행하면서 무사고를 기록했다.


하동에서는 운전자 개입이 필요한 자율주행 0단계부터 완전 무인화 수준인 5단계 중 위험 요소나 변수가 발생할 때 운전자가 개입하는 3단계로 시범운행 중이다.


아직 운전자 개입이 필요하고, 정해진 구간만 운행하는 한계가 있지만 아직 전 세계 어디에서도 5단계를 달성한 곳이 없는 만큼 군은 의미가 있다는 입장이다.


회전교차로처럼 구조가 복잡한 도로에서는 급정거하는 등 아직 시스템이 완전하지 않지만, 읍내 고정된 구간만 반복해서 왕복하는 대중교통이기에 인구 감소로 인한 운행 축소에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자율주행버스를 이용한 주민들도 처음에는 반신반의하다가 예상보다 뛰어난 자율주행 기능에 대체로 좋은 반응을 보인다.


사람이 운전하는 버스와 달리 모든 구간을 제한속도에 맞춰 달리기 때문에 승차감과 안정감이 더 뛰어나다는 것이다.


또 운전석에 사람이 꼭 있어야 하지만 직접 운전대를 잡는 경우는 거의 없어 버스 기사들의 업무 강도도 상당히 완화되는 효과도 있다.


현재 이 버스는 하루 평균 60∼70명가량 이용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아직 초창기인 만큼 불안감을 호소하다가 실제로 탑승해보면 안정적 운행에 만족해하는 군민이 많다"며 "하동은 제한속도가 보통 시속 30∼50㎞에 교통량이 적은 농촌지역이라 더 안전한 운행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아직 완전한 자율주행은 아니지만 전 세계적으로 그 단계를 향해 나아가는 단계라 보고 선제 대응 차원에서 자율주행버스를 도입했다"며 "홍보와 관리에 최선을 다해 군민들이 안심하고 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끔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home1223@yna.co.kr

출처-연합뉴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