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8969779161.jpg

 

 

1738969792132.jpg

 

 

1738642386662.jpg

 

 

1738639924833 (1).jpg

 

 

1738639911194 (1).jpg

 

 

1738641993565.jpg

 

 

1738641965447.jpg

 

 

1738639886942 (1).jpg

 

 

1739875887338.jpg

 

 

1739875903119.jpg

 

 

36138_92950_1127.jpg

 

 

36138_92951_1348.jpg

36138_92952_1348.jpg

 

 

김용현은 2024년 내란 다음날인 12월 4일 사표를 표명했고 12월 5일 목요일 면직을 재가했다. 


심우정 검찰총장은 경찰이 김 전 장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한 후인 12월 6일 오후, 김선호 국방차관에게 김 전 장관 연락처를 물었고 군사보좌관을 통해 김 전 장관의 비화폰 번호를 확인했다.


'국방부장관직무대행'은 '김용현'의 일반휴대폰에 전화를 해서 '비화폰 전화번호'를 물어보고 이를 확인하지 않고 검찰총장에게 전달했다고 국회의원 백혜련에게 진술했다.


검찰총장에게 전달한 '비화폰 전화번호'가 '김용현'이 아니라 '민간인 노상원'(내란혐의 피고인)에게 지급된 '비화폰 전화번호'인지 국회 질의과정에서 처음 알았다고 한다.


김 전 장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은 통화 이후인 7일 오후 발부돼 8일 집행됐으며 김 전 장관은 영장 집행 직전인 12월 8일 일요일 01시 30분경 검찰 특별수사본부에 도착 후 임의 출석 상태에서 체포되어 바로 구속되었다.


검찰은 김 전 장관 수사를 위해 연락처를 문의한 것이고 통화도 자진 출석을 설득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이진동/대검찰청 차장검사> "(김 전 장관의) 자발적 출석이 제일 중요한 상황이고, 설득이 우선이라고…"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밝혔다.


국방부장관직무대행은 '김용현' 개인휴대폰으로 12월 5일 목요일 부터 12월 7일 자정 무렵 검찰 출석전까지 통화가 가능했다. 그 이후에 통화하였다면 검찰의 동의 내지 묵인하에 통화가 가능했던 것이다. 이미 지적한 대로 '김용현'이 체포 구속되었으면 검찰총장이 '국방부장관직무대행'에게 '김용현' 비화폰 번호를 물어볼 이유가 없다. 


심 총장은 군사보좌관을 통해 김 전 장관의 비화폰 번호를 확인해 영장 청구를 담당하는 부장검사에게 전달했다. 이후 담당 부장 검사인 이찬규 공공수사1부장과 김 전 장관, 이진동 대검 차장 사이 통화가 수차례 이뤄졌다. 


당시 김용현 전 장관이 사용했던 비화폰은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지급한 것으로 김 전 장관은 민간인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전달했다. 


노상원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이 해제된 지난해 12월 4일 방정환 국방부 혁신기획관을 통해 비화폰을 김용현 전 장관에게 반납했다. 


방정환 국방부 전혁신기획관(준장)은 지난해 검찰 조사에서 “계엄 해제된 (지난해) 12월4일 오전 노 전 사령관을 만난 적이 있는데, 장관님께 돌려 드리라며 휴대전화를 받아, 장관님 보좌관에게 준 것이 있다며 “그 전화기가 보안폰(비화폰)인지는 모르겠다”고 진술했다. 


비상계엄이 해제된 이후인 지난해 12월4일 오전 방 준장이 경기도 안산의 노 전 사령관의 주거지를 방문했고 노 전 사령관은 “장관님 보좌관을 통해 드리면 된다”며 휴대전화 1대를 건넸다고 한다.


방 준장은 국방부를 방문해 김철진 국방부 군사보좌관을 만나 휴대전화를 전달했고 김 보좌관은 이를 들고 장관실에 바로 들어갔다고 한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은 장관직 사의 당시 자신의 비화폰은 경호처에 반납하면서도 ‘노상원 비화폰’은 반납하지 않았다. 이후 김 전 장관은 ‘노상원 비화폰’으로 이진동 차장검사와 통화한 후 지난해 12월 8일 새벽 검찰에 자진 출석하기 전 경호처에 반납했다.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지난 6일 국회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에서 “지난해 12월 6일 저녁 8시경 심우정 총장이 김선호 차관에게 연락했고 김선호 차관은 비화폰 번호를 심 총장에게 준다”며 “심 총장은 이찬규 부장검사에게 얘기해 이 부장검사가 김용현 전 장관과 통화를 시도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랬더니 김용현 전 장관이 ‘대통령과 통화 후에 이야기하겠다’고 한다”며 “이후 윤석열 대통령은 김용현 전 장관에게 ‘김주현 민정수석과 협의하라’고 얘기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윤 대통령과의 통화 여부 대한 질문에 김주현 민정수석은 “김용현 장관의 출석과 관련해 전화 통화하거나 그런 얘기를 할 일은 없다고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검찰 출신인 김 수석은 비상 계엄 다음날 저녁인 12월 4일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서 열린 '법조 4인 회동' 참석자 중 한 명이다. 


계엄 수사 대응 작전을 짠 것 아니냐고 의심 받는 이 회동에는 김 수석 외에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이 참석했다. 판사 출신인 이 전 장관을 제외한 나머지 3명은 모두 검찰 출신이다.


http://m.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6138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82763.html#cb

 

https://cafe.naver.com/studiothetamsa/16529?tc=shared_link

 

https://cafe.naver.com/studiothetamsa/16473?tc=shared_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