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통신은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에 따른 전력 수요 폭증으로 원자력 발전이 다시 주목받는 가운데 원전수출 시장에서 한국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탈원전 계승할 이재명이 대통령 되는 일은 절대로 없어야 한다.

기후 위기와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에 따른 전력 수요 폭증으로 원자력 발전이 다시 주목받는 가운데, 원전 수출 시장에서 한국이 수혜를 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 ‘다시 돌아온 원전, 한국이 최대 수혜국으로 부상’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원전 수출에선 비교적 신흥국인 한국이 수익성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고 했다.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가 전 세계에서 계획·제안된 원전 사업 400여 건을 분석한 결과, 한국이 이 중 43%를 수주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 10년간 최대 원전 기술 수출국 중 하나로 발돋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블룸버그는 원자로를 지을 수 있는 국가와 기업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한국은 지리적, 정치적으로 비교적 유리한 위치라고 봤다. 과거 원전 사업을 이끌던 주역인 미국과 프랑스는 높은 비용과 공사 지연 문제로 신뢰가 하락했고, 중국과 러시아는 안보 문제와 지정학적 리스크로 서방 국가의 선호도가 낮은 상황에서 한국이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원전 발전이 1979년 스리마일섬 사고 이후 멈춰 섰고, 프랑스가 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사고 이후 원전 반대 여론에 직면해 고전한 것과 달리 한국은 50여 년간 비교적 지속적으로 원전을 건설·발전시켜 왔다는 게 블룸버그 평가다. 일본의 경우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여파에서 여전히 회복 중인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한국은 국내 전력 수요 증가와 전 세계적인 탈화석연료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수십 년 전부터 자체 원자력 기술을 개발해왔다”며 “한국의 조용하고도 효율적인 원전 산업은 동남해안을 중심으로 활기를 띠고 있으며, 중국이나 러시아와 연계되길 꺼리는 서방 국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고 했다.

블룸버그는 한국 원전 산업의 최대 강점을 ‘효율적인 네트워크’라고 봤다. 엔지니어링, 건설, 유틸리티, 금융까지 국영 기업과 민간 기업이 촘촘히 연결됐다는 것이다. 에너지 컨설팅 회사인 레디언트 에너지 그룹의 마크 넬슨 대표는 “한국은 ‘팀 코리아’로 움직인다”며 “발주국 입장에선 통일된 창구를 상대하는 셈”이라고 했다.

그간 원자력을 꾸준히 개발해온 경험이 있는 점도 강점이라고 통신은 보도했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통신에 “우리는 50년 넘게 원전을 건설해왔고, 멈춘 적이 없다”고도 했다.

다만 블룸버그는 한국이 여전히 원전 강국들에는 뒤처진 상태라면서 국내 혼란과 정치적 변화도 변수로 꼽았다. 또 한국 원전 수출의 첫 사례인 아랍에미리트(UAE)의 바라카 원전 사업 수주와 지난달 30일 수주가 확정됐다. 

현재 체코 법원의 제동으로 계약이 지연되고 있는 체코 원전을 비교해 언급하며 “중동에서는 저임금 이주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었다”며 “체코처럼 현지 고임금 인력을 써야 하는 경우엔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고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