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호 전투에서 중공군이 철수하는 유엔군을 끝까지 공격하지 않은 이유
1. 중공군의 막대한 피해와 전투력 소모
- 장진호 전투에서 중공군도 많은 사상자를 냈고, 동상과 굶주림 등으로 병력 손실이 컸음.
- 극심한 추위와 계속된 전투로 인해 더 이상의 추격전은 어려웠음.
2. 열세한 군수지원과 보급선 문제
- 중공군은 보급체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투를 벌였고,
장진호 일대는 산악 지형으로 인해 보급이 거의 불가능했음.
3. 미 해병대의 강력한 반격과 전투력
- 유엔군(특히 미 해병 1사단)은 항공지원, 포병, 조직적인 후퇴 등을 통해 전투력을 유지하고 있었음.
- 철수가 아니라 전투를 벌이며 철수했기 때문에 무리한 추격은 오히려 중공군의 피해를 키울 수 있었음.
4. 중공군 지휘부의 전략적 판단
- 중공군은 이미 유엔군의 북진을 저지하고 상당한 타격을 주었다고 판단.
- 이후 남쪽 전선 재편성에 집중하면서 무리한 추격을 자제함.
5. 자연환경과 기후 조건
- 당시 극한의 추위와 열악한 날씨는 중공군의 이동과 전투를 매우 어렵게 만들었음.
- 추격전이 불가능할 정도로 병사들이 기동력을 상실함.
결론:
중공군이 유엔군을 끝까지 추격하지 않은 것은 단순한 판단 착오나 관용이 아니라,
전투력 소모, 보급 부족, 기후 조건, 유엔군의 저항, 전략적 판단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
"""
중공군 지휘=모택동(전략전술에 능함)
연합군 지휘=맥아더
세계 3대 동계전투 중에 하나..장진호전투
수천명 얼어죽고
수십만명 살아서 부산 거제 울산 포항 대구
터잡고 후대가 나온거지
내가 추우면 상대방도 추움
내가 배고프고 물자가 부족함
상대방도 똑같음
그러므로 승리자는 자연임
0/2000자